정부 지원 제도를 알아보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단어가 있죠. 바로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내가 조건에 해당되는지 어떻게 확인하지?" "중위소득 100% 이하라는데, 무슨 뜻이지?"
이런 궁금증을 완전히 해결해 드릴게요. 기준 중위소득의 정의부터 계산법, 실제 활용 분야까지
한 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1.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전국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 수준을 말합니다.
- 국가에서 매년 8월 보건복지부 고시로 발표
- 다양한 복지제도, 정부지원금, 청년 정책의 소득 기준으로 활용됨
👉 즉, **중위소득 100%**는 평균값이 아닌 중간값입니다.
👉 소득 분포에서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기준으로 함
2. 기준 중위소득 2024년 기준표 (보건복지부 발표)
1인 가구 | 2,243,000원 | 1,345,800원 | 2,691,600원 |
2인 가구 | 3,714,000원 | 2,228,400원 | 4,456,800원 |
3인 가구 | 4,770,000원 | 2,862,000원 | 5,724,000원 |
4인 가구 | 5,817,000원 | 3,490,200원 | 6,980,400원 |
5인 가구 | 6,834,000원 | 4,100,400원 | 8,200,800원 |
※ 자료 출처: 보건복지부 2024년 기준
※ 소득 기준은 세전 소득이 아니라 ‘가구 월소득 환산액’ 기준입니다.
3.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
기준 중위소득은 단순히 가구당 월급만 보는 것이 아닙니다.
가구 전체의 소득을 합산하고, 이를 정부가 고시한 환산 기준표에 따라 계산합니다.
[소득 산정 요소]
-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재산소득
- 기타 소득(연금, 이자 등)
- 정부 지원금(일부 제외 가능)
[계산 예시 – 1인 가구 / 월 140만 원 소득]
- 중위소득 100% = 2,243,000원
- 140만 원 = 약 62% 수준 → 대부분의 청년 지원정책 / 1 유형 국민취업제도 신청 가능
4. 기준 중위소득이 사용되는 분야
다양한 복지·취업 지원 정책의 신청 조건으로 활용됩니다.
● 국민취업지원제도 (1 유형: 60% 이하 / 청년: 120% 이하)
● 청년내일 저축계좌 (중위소득 100% 이하)
● 주거급여,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기준
● 긴급복지지원제도
● 국가장학금 일부 지원 기준
● 청년 월세 지원,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등
👉 내 소득이 중위소득 몇 % 수준인지 아는 것이 제도 신청의 첫걸음입니다!
5. 기준 중위소득 쉽게 확인하는 방법
복잡한 계산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자동 계산기로 확인 가능합니다.
- 복지로 기준 중위소득 확인하기
-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제도 모의진단
- 지방자치단체 복지 포털
[팁!]: 중위소득 100% 이상이면 무조건 탈락? 아닙니다!
청년 대상 정책은 120%까지 허용되는 경우 많으니 꼭 확인하세요.
마무리하며
기준 중위소득은 단순한 숫자 기준이 아닙니다.
정부 정책의 수혜를 받기 위한 최초 조건이자,
내 가구가 정부 지원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열쇠입니다.
복지 제도를 신청하고 싶다면, 꼭 중위소득 기준을 확인하고
나와 우리 가족의 가구 소득 수준을 체크해 보세요.
'정부지원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전지원사업 신청방법 조건 총정리! 2025년 최신정보 (1) | 2025.04.22 |
---|---|
내 가족이 받을 수 있는 보조금 한번에 확인하기 (1) | 2024.08.06 |
아픈 가족을 돌보는 청년들을 지원합니다. (0) | 2024.08.02 |
일상 돌봄 서비스 사업 지원대상 신청방법 서비스내용 (0) | 2024.04.25 |
강서구 전세사기 피해자 이사비 지원사업 (0) | 2024.02.02 |